철학-세기의 주장들27 프로이트가 본 인간과 세계 한 번쯤 들어보고, 또 한 번쯤은 공부해봤을 법한 정신분석학의 대가 프로이트. 오늘은 외국에서 드라마와 영화화도 되었던 그의 생애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세상을 어떤 방식으로 바라보았는지 본 포스팅에서 설명하려고 한다. 1. 프로이트의 생애 오스트리아 빈에서 출생한 프로이트는 두뇌가 명석하여 대학에서 의학을 전공했다. 하지만 그는 의대 졸업 후 바로 의사 생활을 시작하지 않고 다년간 가재의 신경 세포 연구에 매진했다. 하지만 연구는 누군가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으면 계속하기 힘들기 때문에, 결국 경제적인 어려움에 시달리게 되었고 어쩔 수 없이 연구를 그만두게 된다.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 빈 대학 부속 병원의 레지던트로 일하게 된다. 하지만 연구를 사랑했던 그는 계속해서 자신의 연구를 진행하며 코.. 2022. 9. 26. 석가의 삼법인설과 14가지 질문 지난 시간에 불교의 핵심이자 정수 이론인 연기설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런데 불교에는 십이연기설이라는 이론 또한 존재한다. 연기설이 이 세상의 원리를 제시한 이론이라면 십이연기설은 그것으로부터 일어나는 세부적인 심리 과정을 설명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석가모니가 일체의 생멸 변화의 법칙성을 규명한 연기설에 입각하여, 인생의 괴로움의 원인과 그것의 제거를 설명하고 있다. 자, 그럼 인간은 왜 괴로울까? 우선 복잡한 십이연기설에 들어가기 전에 불교의 대표적인 삼법인설을 짚고 넘어가자. 1. 삼법인설(三法印說) 법(法)은 불교에서 진리를 의미한다. 삼법인은 세 가지의 진실한 가르침이란 뜻으로 세상의 모든 현상과 존재의 참다운 모습에 대한 부처의 깨달음을 설명한 것이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 2022. 9. 20. 근본불교 - 고타마 싯다르타 자, 오늘은 근본불교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불교면 불교지, 근본불교는 무엇이냐고 물을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는 싯다르타 사후에 여러 종파로 나누어졌다. 따라서 근본불교란 제일 처음 싯다르타가 설파한 내용을 교리로 삼은 불교를 의미한다. 우선 불교 철학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석가모니(a.k.a 고타마 싯다르타) 그는 어떤 사람이었는지 간단히 알아보기로 하자. 1. 생애 그의 탄생은 팩트보다는 설화에 가깝다. 가령 어머니인 마야 부인이 겨드랑이 밑으로 석가를 낳았다든지, 태어나자마자 걸음을 걸었다든지, 그리고 그가 걷는 곳마다 신비한 일이 일어났다든지 하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룬다. 또한 당대 유명인들이 그를 보고 예언한 범상치 않은 이야기도 정말 무수히 많다. "이 아기는 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합니다. .. 2022. 9. 15. 하이데거의 죽음에 관한 해석 우리는 지난 포스팅에서 대중 속에서 대중으로 사는 자기 자신이 거기서 벗어나 본래 실존, 즉 진짜 고유한 자기 자신으로서 살기 위한 첫 단계로 불안의 개념을 다뤘다. 하지만 현존재는 대개 남과 달리 선택하는 자유의 행사로부터 나오는 책임에 대한 공포 때문에, 세계의 무의미성과 자신의 본래 각자성을 드러내는 불안으로부터 벗어나 공공성의 편안함 속으로 다시 도피하려고 한다. 그런데 이러한 불안의 은폐는 영원할 수 없다. 왜냐하면 현존재가 도저히 회피할 수 없으며, 자신의 가능성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죽음이라는 극단적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죽음? 그렇다면 하이데거는 죽음에 대해 어떤 이야기를 하였을까? "현존재는 이미 자신의 '아직-아님'으로 존재하듯이, 그는 또한 언제나 이미 그의 종말로 존재한다... 2022. 9. 12. 하이데거의 존재론 : 불안 "우리는 세인이 즐기듯이 즐기고 만족스러워한다. 우리는 세인이 보고 판단하는 것처럼 그것에 관해 읽고 보고 판단한다." 대중에 매몰된 색깔 없는 자아가 아닌 각자의 신념과 개성 있는 인간을 지향했던 실존주의 철학자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인간의 삶을 본디 삶과 비본래적 삶으로 구분한다. 비본래적 삶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이데거는 비본래적인 삶을 사는 현존재를 일상인이라고 부른다. 일상인이 사는 세계를 주위 세계라고 하는 데 우선 비본래적 삶과 본래적 삶을 들여다보려면 하이데거가 제시한 세 가지 세계를 짚고 넘어가야 한다. 첫째, 주위 세계 주위 세계에서 존재자들은 현존재에 도구와 수단으로써 드러난다. 사람들은 특정 목적을 가지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다. 이때 고려와 둘러봄이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관계 맺.. 2022. 9. 12. 하이데거의 생애 독일을 대표하는 철학자 중 한 명인 하이데거. 이름이 익숙할 것이다. 그는 실존주의 철학자이기 때문에 그의 사상은 많은 곳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죽음에 대한 남다른 철학을 가진 인물로도 유명하다. 1. 생애 1889년 9월 26일 그는 독일 최남단에 자리한 시골에서 성당지기의 아버지와 평범한 어머니 사이에서 출생하였다. 집안 형편이 좋지 않아서 학업에 곤란을 겪었던 적도 있었으나 신부님의 도움으로 김나지움에 진학할 수 있었다. 김나지움이란 국가별로 조금씩 제도가 다르긴 하지만 대개 유럽의 중고등학교 과정의 교육기관을 의미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김나지움 졸업 후 신부가 되기 위해 수도회에 입단하며 수련하였으나 2주 만에 그만두고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게 된다. 이처럼 젊은 시절 진로에 대해 극심한 고민.. 2022. 9. 7. 프리드리히 헤겔 : 인륜 단계 1. 인륜 인륜이란 뜻은 뭘까? 기본적 정의는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그래서 보통 인륜에 어긋난다, 패륜이다, 이런 말을 인간을 인격으로 대우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모든 부정적인 형태의 행위를 총괄하며, 이 부정적인 행위가 매우 심한 정도일 경우 이런 표현을 사용한다. 그렇다면 헤겔이 규정한 인륜이란 의미도 이런 것일까? 헤겔은 인륜이란 추상적인 선이 개인의 의식 속에서 현실성을 띠고 있는 상태라고 말한다. 좀 더 쉽게 말하면 개인이 자신이 의식하고 있는 추상적 선을 자기 가족, 사회, 국가를 선의 기초와 목적으로 받드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인륜이란 살아있는 선으로서의 자유의 이념이라고 헤겔은 말한다. 살아있다는 말은 도덕적 선이 그저 머릿속에 추상적으로 관념화된 상태뿐만 아.. 2022. 9. 5. 프리드리히 헤겔의 추상법 지난 포스팅에서 프리드리히 헤겔의 생애와 추상법의 초기 단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은 의지, 인격, 소유, 계약에 이어서 이후 전개되는 개념들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계약은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를 공식적으로 명시한 것이다. 이러한 권리-의무 관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해결하는 것이 소송이다. 모든 민사 소송은 소유물의 교환과 관련하여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정확히 누구인지를 판별함으로써 종결된다. 이 과정에서 한쪽은 옳고 다른 쪽은 그른 것이 된다. 옳음과 그름의 관념은 이처럼 계약과 관련된 권리-의무 관계로부터 발생한다. 그런데 상당수의 민사 소송이 그런 것처럼, 그르다는 판결을 받은 사람의 행위가 반드시 도덕적으로 악함을 의미하진 않는다. 1. 불법 이러한 그름은 자신의 소유라고 주장한.. 2022. 9. 2. 프리드리히 헤겔의 생애 극도로 난해한 철학으로 정평이 난 인물,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서양 사람의 이름은 보통 4음절이다. 본이름, 미들네임, 엄마 성, 아빠 성 미들네임과 엄마 성을 뺀 2음절 구성의 이름을 채택하는 나라도 많지만 남미 쪽만 가도 죄다 이름이 4개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 헤겔은 이름이 참 멋진 것 같다. 오늘은 1770년 신성로마제국 뷔르템베르크 공국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난 헤겔의 철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독일인) 1. 헤겔의 생애 헤겔은 의례 그렇듯이 뛰어난 두뇌를 가졌다. 대학 입학 전까지 언제나 반에서 수석이었다고 한다. 어머니는 일찍 여의었으며 궁전 하급 공무원인 아버지와 함께 살았다고 한다. 18살 때 튀빙겐 대학에 신학 전공으로 입학하게 되는데 그때 천재 친구들과 함께 방.. 2022. 9. 2.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